반응형
오픈마켓 뜻
오픈마켓 이란 무엇일까?
오픈마켓 이란 누구나 판매할 수 있는 ‘열린 장터’와 같다고 보면 됩니다.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과 다르게 다수의 개인 판매자들이 모여서
판매를 할 수 있도록 열어놓은 홈페이지 입니다.
오픈마켓 종류
오픈마켓 종류가 여러가지가 있을거라는 생각이 들어서 찾아보니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지마켓(g마켓), 11번가, 옥션, 인터파크가
대표적인 오픈마켓 종류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쇼핑을 좀 해본 분이라면 쿠팡은?
이라는 생각이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건 소셜커머스 라고 따로 분리가 됩니다.
그렇다면 오픈마켓 소셜커머스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오픈마켓 소셜커머스의 차이
소셜커머스는 ‘사람이 모여 마켓을 이룬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 초반에는 오프라인 상점의 티켓이나
사용권을 공동 구매하는 시스템(공구)로 시작 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지금 현재는 일반 상품을 판매하게 되었습니다.
오픈마켓 소셜커머스의 차이는 ‘판매의 주체가 누구에게 있는가?’ 입니다.
오픈마켓은 판매 홈페이지(판매 팜플렛)만 제공합니다.
상품의 문제가 생겼을때, 판매자가 직접 해결을 해야합니다.
그러나 소셜커머스는 MD(상품화 계획 또는 상품기획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과 함께
딜의 형태로 상품을 등록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상품의 문제가 생겼을 때, 판매자가 직접 해결이 아닌
해당 마켓의 고객센터에서 해결을 해야합니다.
오픈마켓 순위
1등 11번가
2등 옥션
3등 지마켓
4등 인터파크
소셜커머스 순위
1등 쿠팡
2등 위메프
3등 티몬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전체 순위
1등 쿠팡
2등 11번가
3등 위메프
4등 옥션
5등 티몬
6등 지마켓
7등 인터파크
오늘은 오픈마켓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업자등록하는게 좀 두렵게 느껴져서
오픈마켓 사업자등록 없이 판매하는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픈마켓 사업자등록 없이 판매하는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일단 한마디로 말씀드리자면, 불가능하다. 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오픈마켓 창업을 하기 위해서는 사업자등록을 해야합니다.
그 이유는 미등록 가산세, 신고불성실가산세 등 추가로 납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세히 알아보면 사업개시일로부터 20일이내에 사업자등록을 신청해야합니다.
오픈마켓 사업자등록 없이 이루어진 거래에 대해서 미등록 가산세를 부담 해야 합니다.
그리고 오픈마켓 뿐만 아니라 사업자등록 없이 이루어진 거래는
부가가시체 신고를 못하게 됩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를 못하게 되면 신고불성실가산세,
납부불성실 가산세를 추가로 납부해야합니다.
그래서 저는 오픈마켓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사업자등록을 하려고 합니다.
사업자등록을 하고, 제대로 사업을 하려고 하니
오픈마켓 입점 시 필요한 서류,
오픈마켓 수수료(오픈마켓 판매 수수료), 또는 입점 수수료 등
여러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오픈마켓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처럼 초보자 오픈마켓 창업에 대해 관심 많으신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마켓을 기준으로 해서 오픈마켓 입점 시 필요서류,
장단점, 평균 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픈 마켓 입점 시 필요 서류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 해보면
사업자등록증, 통신판매신고증 사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인감증명서 사본과 통장사본, fax정보가 필요합니다.
오픈 마켓 입점 시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첫째, 일단 사업자등록증만 있으면 누구나 입점하거나 판매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둘째, 충성고객들이 많은 편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네이버페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네이버쇼핑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네이버에 검색 대신 오픈 마켓에서 검색해서 구매하는
충성고객들이 많은 편이라고 합니다.
아무래도 cs가 잘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오픈 마켓 입점 시 장점은 수수료가 낮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오픈마켓 외에 다른 종합몰, 아이디어스 수수료가
오픈마켓 수수료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오픈마켓 단점
오픈마켓 첫번째 단점은 이용고객이 많은 만큼, 경쟁 판매업체들도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가격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광고로 노출을 시키게 됩니다.
광고가 없다면 노출이 어렵기 때문이죠.
그래서 광고비로 많은 지출이 발생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오픈마켓 수수료를 다 알아보기 힘들어 이번에도
지마켓 판매 수수료로 알아보았습니다.
(오픈마켓 평균 수수료는 맨 밑에 사진으로 올려 놓았습니다.)
두번째 단점은 지마켓 판매 수수료가 13% 입니다.
그러나 제휴사 연동으로 판매가 이루어진 경우는
제휴사 연동 수수료를 포함해 결국은 16%의 수수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수수료가 그나마 낮은편이라니..
수수료를 생각하면서 판매를 해야하니
아무래도 마진이 생각보다 많이 남을 것 같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경쟁도 치열하다보니 가격경쟁도 심하고,
그런데 수수료까지 높아지게 되니
지마켓 입점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픈마켓 같은 경우 각 카테고리별 수수료가 다릅니다.
그래서 판매품목을 보고 확인해보면 되는데요.
일단 지마켓 판매 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픈마켓 수수료 정리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종합몰, 전문몰,폐쇄몰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그 중에서 오픈마켓 수수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오픈마켓 수수료 정리로 수수료 평균적인 통계를
보여드리고 끝내려고 합니다.
반응형
'용돈벌기♡ > 창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창업 동남아시아 쇼핑몰 쇼피 사업자등록 (0) | 2020.07.30 |
---|---|
아이폰 쇼피 국가별 어플 다운로드 방법 (0) | 2020.07.28 |
온라인 창업 한다면 꼭 알아야 할 해외구매대행 신용카드 best 3 (0) | 2020.07.20 |
구글 애드센스 핀번호 다시 신청하는 방법 & 주소 확인하는 방법 (0) | 2020.04.22 |
단기간 구글 애드센스 광고 승인 이유와 후기 (0) | 2020.02.27 |